Surprise Me!

[자막뉴스] 평창 올림픽 1년 후 '애물단지'로 전락한 경기장 / YTN

2019-02-10 49 Dailymotion

동계올림픽이 열린 지 1년. <br /> <br />강원도와 평창은 여전히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0조 원 넘는 예산이 들어간 기반 시설과 경기장 활용 문제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제대로 운영되는 시설은 KTX와 고속도로뿐이라는 자조까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세계인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던 평창 개·폐회식장은 성화대만 남기고 이미 철거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 자리에 올림픽 기념관 조성이 예정돼 있지만, 예산이 모자라 지지부진합니다. <br /> <br />2천억 원이 든 가리왕산 스키장은 갈등의 핵심으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복원과 존치 사이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땅 주인인 산림청이 복원을 추진하자 정선 주민은 투쟁위원회를 구성해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합의 기구가 구성됐지만, 입장 차는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[최승준 / 강원 정선군수 : 우리가 열정을 쏟았던 그 올림픽 흔적을 후대에 물려줄 수 있도록 해달라는데 왜 이것도 안 된다는 겁니까?] <br /> <br />[김재현 / 산림청장 : 저희는 행정을 집행하는 상황에서 복원 입장은 계속 유지되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다른 경기장 역시 사용은 하지 못하는데 돈만 들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이나 강릉 하키 센터, 슬라이딩 센터처럼 일반인이 이용하기 힘든 전문 시설은 임시 위탁 기관만 정하고 폐쇄됐습니다. <br /> <br />3개 시설 유지에 한 해 40억 원이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시설이 없어진 탓에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등 썰매 대표팀은 올림픽 끝난 뒤 훈련 한번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리 주체가 정해진 나머지 경기장도 제대로 된 활용방안 없이 방치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문순 / 강원도지사 : 일부는 국가대표 선수들이 훈련할 수 있게 하고 훈련비를 받을 예정입니다. 나머지는 상업적 이용도, 다른 나라처럼 상업적 이용을 해서 일반 관광객이 짧은 코스를 탄다든지….] <br /> <br />정부는 뒤늦게 기념재단을 만들어 시설 운영과 관리를 맡기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재단 운영 방식과 재정 지원 규모 등을 뽑기 위해 외부 연구 용역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용역 결과는 오는 6월 나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시설 사용료 같은 한시적 예산 지원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애물단지로 전락한 올림픽 경기장 활용은 좀처럼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지환 <br />촬영기자 : 우영택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21015124914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